신자유주의라는 단어를 아는 국민은 얼마나 될까...
세계는 지금 미국이 주도하는 신자유주의가 휩쓸고
있다. 그 예가 FTA이다. 신자유주의는 보수 정당인
미국 공화당의 정책과도 일맥상통한다. 자유주의가
무슨 보수와 연관이 있냐라고 하는 사람도 있을 것
이다. 또 자유주의는 무조건 좋은 거라고 생각 하는
사람도 있을 것이다. 과연 그럴까?
신자유주의는 70년대말 정부실패를 계기로 초기 자
본주의처럼 정부의 기능은 축소 시키고 시장의 기능
을 극대화 하자는 이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. 물론
시대의 흐름상 맞는 패러다임이다. 그렇지만 이로
인해 빈익빈 부익부 현상(이른바 양극화)이 가속화
되고 국지적 경제 위기가 세계로 퍼저나가는 부작용
이 커저만 가고 있다. 97년 외환 위기는 신자유주의
로 인한 것이며 지금의 양극화 현상도 그 영향을 받
고 있는 것이다. 신자유주의를 대체할 대안으로
영국의 토니블레어는 제 3의 길을 주장하며 쇄신좌파
를 표방하고 나섰다. 우파와 좌파의 장점을 잘 살려보
자는 취지다. 지금 우리나라 정부도 이와 비슷한 정책
을 펼처 나가고 있다. 경제에서는 이헌재 부총리때 부
터 성장위주로 나가고 있으며 강력한 재분배 정책을
제정해 양극화 현상을 줄여나가려고 하고 있다.
그런데 이 재분배 정책은 기득권 세력과 엄청난 갈
등을 야기시킨다. 지금의 혼란은 이 것에서 오는 것
이다. 이 혼란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현정 정부를 못
마땅히 여겨 반대 급부로 한나라당에 지지를 던지고 있
다.
앞에서 말했듯이 보수와 자유주의는 수레 바퀴처럼 같이
굴러 가는 것이다. 한나라당이 미국 공화당처럼 제대로
된 보수정당은 아니지만 보수정당을 표방하고 있는 이상
지금의 양극화 문제에 소극적일 것이고 기득권 세력 옹호
및 감세 정책은 이를 잘 뒷받침해주고 있다.(재분배정책에
소극적)
빈익빈 부익부(양극화 현상)는 싫어하면서 한나라당을
지지하는 서민들(기득권세력을 제외한)을 보면 한숨이 절
로 나온다.
'정치..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념논쟁 (0) | 2006.07.22 |
---|---|
정치 경제 교육의 중요성 (0) | 2006.06.04 |
정말 없어졌으면 하는 것... (0) | 2006.06.03 |
국민들이 버려야할 것들... (0) | 2006.06.03 |
모순... (0) | 2006.05.03 |